Processing math: 100%
본문 바로가기

공부/통계학

[통계학] 표본 공간과 사건, 확률의 공리

 

 

 

표본공간과 사건

 

 

표본공간(Sample Space) : 시행에서 발생가능한 모든 결과들의 집합. 보통 S라고 표기.

 

 

사건(Event) : 시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결과로, 표본공간의 부분집합.

 

1. 전사건 : 시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사건. 표본공간의 모든 원소를 포함한다.

 

2. 공사건 : 시행에서 일어날 수 없는 사건. 표본공간의 어떤 원소도 포함하지 않으며, 공사건의 여사건은 전사건이다.

 

3. 여사건 : 특정 사건이 발생하지 않을 사건. 표본공간 S의 사건 A가 일어나지 않을 사건은 Ac 로 표기한다.

 

4. 합사건 : 어떤 시행에서 발생 가능한 두 사건이 있을 때, 두 사건 중 적어도 하나가 일어나는 사건. 사건 AB의 합사건은 AB 로 표기한다.

 

5. 곱사건 : 어떤 시행에서 발생 가능한 두 사건이 있을 때,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는 사건. 사건 AB의 곱사건은 AB 로 표기한다.

 

6. 배반사건 : 어떤 시행에서 발생 가능한 두 사건이 있을 때, 두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는 사건. 즉, 사건 AB에 대하여 A가 일어나면 B가 일어나지 않고 B가 일어나면 A가 일어나지 않을 때 두 사건을 배반이라고 한다.

 

 

 

기본적인 확률 공식

 

순열

 

서로 다른 n개의 원소 중에서 r개를 뽑아 나열하는 방법의 수는

nPr=n(n1)×...×(nr+1)=n!(nr)!

 

 

조합

 

서로 다른 n개의 원소 중에서 r개를 선택하는 방법의 수는

nCr=nPrr!=n!r!(nr)!

 

 

 

 

확률의 기본 정리

 

1. P(Ac)=1P(A)

 

2. AB 이면 P(A)P(B)

 

3. P(AB)=P(A)+P(B)P(AB)

 

 

 

확률의 공리

 

1. 표본공간 S에 속하는 사건 A에 대하여 0P(A)1

 

2. 표본공간 S 에 대하여

P(S)=1

P()=0

 

3. 표본공간 S의 사건열 A1,A2,A3,... 이 상호배반이면 ( ij  에 대하여 AiAj= 이면)

P(A1A2A3...) = P(A1)+P(A2)+P(A3)+... = i=1P(Ai) 성립

 

 

반응형